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대학 입시 정보

수능 100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공부 전략 (고3 현역 vs 재수생)

by 만물의영장타조 2025. 8. 11.
반응형

 

챗GPT가 알려주는 공부 전략입니다.

맹신하진 마시고,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공부 전략은 수험생 개개인마다 다 다릅니다.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고, 여러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나한테 맞는 방법을 찾거나, 또는 대세에 따르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정시까지 100일이 채 안 남은 시점이면 현역과 재수생은 상황과 강점이 확실히 다르기 때문에 월별 전략을 나눠서 잡아야 합니다.


아래는 8월~수능 직전까지 월별 계획을 기준으로, 두 집단별 차이를 반영한 정시 대비 전략입니다.


📅 월별 로드맵 (2025년 8월 ~ 수능 전)

8월 (D-100~70) : 전 범위 마무리 & 취약 단원 점검

  • 공통 목표
    • 전 과목 전 범위 개념·기본문제 마무리
    • 6·7월까지 풀었던 모의고사·기출에서 틀린 문제 원인 분석
    • 9월 모평(예비 9평) 대비 — 실전 환경 훈련 시작
  • 현역
    • 학교 내신 2학기 초반 일정이 남아있으면, 내신 최소화+수능 중심 전환
    • 전 범위 ‘개념→기출’ 빠른 회전, 특히 약한 단원(예: 수학 특정 단원, 과탐 선택과목) 2주 내 보완
  • 재수생
    • 이미 개념 학습이 끝났다고 가정 → 기출 심화로 이동
    • 6·9평 대비 전년도 3개년 수능 및 교육청 모의 전 범위 2회독
    • 하루 1~2회 미니 모의(과목별)로 시간 감각 회복

9월 (D-70~40) : 실전 모의+오답 루틴 고정

  • 공통 목표
    • 9월 모평 결과 분석 후 대학·학과별 목표 점수 설정
    • 주 2~3회 전과목 실전 모의 + 오답 노트화
    • 국·수·영 3과목의 시간 배분 훈련 (특히 국어)
  • 현역
    • 9평에서 과목별 약점이 드러난 경우, 단원별 미니 특강 or 인강 단기 패키지 활용
    • 내신 시험이 끝나면 하루 공부량을 10시간 이상 확보
  • 재수생
    • 9평 이후 정시 지원 가능 대학군 가늠 → 목표 대학 수준에 맞춘 변형·고난도 훈련
    • 3일 주기 모의고사 루틴 + 2일간 오답·복습 집중
    • 수능형 킬러문항 풀이 감각 강화(수학 21·29·30번, 국어 고난도 비문학 등)

10월 (D-40~15) : 최종 점수 견인 구간

  • 공통 목표
    • 하루 최소 1과목 실전 세트 + 전과목 오답 회독
    • 취약 과목을 2주 내 최대한 끌어올림
    • “시험 당일 루틴”과 동일한 생활 패턴 고정 (기상·식사·집중 시간)
  • 현역
    • 정신적 압박이 커지는 시기 → 시험 시뮬레이션으로 멘탈 안정
    • 수학/과탐 한정으로 ‘마지막 점수 상승’ 가능성 높음 → 고난도 유형 반복
  • 재수생
    • 체력·집중력 유지가 관건 → 과목 순서별 루틴 고정
    • 한 문제 차이로 대학이 갈리는 시기 → 실수방지 전략(마킹, 시간 체크법) 완성

11월 (D-15~0) : 컨디션+감각 유지

  • 공통 목표
    • 절대 새로운 교재 시작 금지
    • 마지막 2주 = 지금까지 푼 모의고사, 기출, 오답만 회독
    • 하루 2회 모의고사(오전/오후) → 실제 시험 컨디션 맞춤
  • 현역
    • 시험 전날까지 학교 생활 일정이 있는 경우 → 피로 누적 주의
    • 컨디션 조절 + 멘탈 훈련(짧은 호흡 명상, 호흡 조절)
  • 재수생
    • ‘과도한 재점검’ 금지 — 오히려 불안만 키움
    • 평소 하던 시간·루틴 100% 유지

🎯 과목별 마무리 포인트

  • 국어
    • 최근 3개년 수능, 6·9평 분석 → 출제 패턴 익히기
    • 비문학: 시간 압박 완화 훈련
    • 문학: 작품·작가·시대 정리, 문제풀이와 연결
  • 수학
    • 킬러문항(21·29·30) 접근 전략 고정
    • 오답패턴 분석 — 계산 실수/조건 누락 줄이기
  • 영어
    • 절대평가지만 등급컷 유지 위해 매일 30~40분 듣기·독해
  • 탐구(과탐/사탐)
    • 기출 3~5개년 반복 → 단원별 개념+유형 묶음 회독
    • 9평 기준 틀린 단원 ‘집중 3회독’

🚦 현역 vs 재수생 핵심 차이

구분 현역 재수생

8월 목표 개념·기출 동시 회전, 약점 단원 빠른 보완 기출·실전 훈련 본격화
9월 이후 내신 종료 후 공부량 급상승 필요 목표 대학 수준 맞춘 변형·고난도 대비
10월 전략 단기간 점수 끌어올리기 위한 집중 과목 선택 실수 줄이고 안정적인 점수 유지
멘탈 관리 ‘첫 수능’ 압박 완화 장기 수험으로 인한 피로·무기력 방지

 

< 고3 현역 정시 준비 전략, D-94 >

 

 

< 재수생 정시 준비 전략, D-94 >

 

 

 

📌 고3 현역 — 과목별 전략

1. 국어

  • 목표: 시간 압박 완화 + 독해 안정성 확보
  • 8월
    • 개념: 문학(갈래·작품별 특징) & 문법(규범, 현대문법) 1회 완성
    • 기출: 최근 3개년 + 6·9평 오답 중심
  • 9월
    • 9평 이후 약한 파트(예: 고전시가, 과학기술 비문학) 집중
    • 주 3회 실전 연습(80분 풀고 40분 오답 분석)
  • 10~11월
    • 실전 모의 5~6세트 완벽 분석
    • 시간 관리: 비문학 먼저 → 문학 → 화작 순서 고정
    • ‘킬러 비문학’ 빠른 정답 근거 찾기 훈련

2. 수학

  • 목표: 안정적인 중·고난도 문제 해결력 + 실수 최소화
  • 8월
    • 개념: 취약 단원(미적분, 기하, 확통 중 선택) 완벽 정리
    • 기출: 최근 3개년 수능·모평 전 범위
  • 9월
    • 9평 분석 후 킬러(21·29·30번) 유형별 접근법 정리
    • 주 2~3회 실전세트 + 풀이 복기
  • 10~11월
    • 6070분 내 전범위 세트 훈련 → 남은 1020분으로 검산
    • 계산실수·조건 누락 방지 체크리스트 고정
    • 시간 분배: 중간 난도(3점·4점) 빠르게 → 고난도 집중

3. 탐구(사탐·과탐)

  • 목표: 단원별 개념 완벽화 + 패턴 익숙해지기
  • 8월
    • 개념 총정리 1회
    • 단원별 기출 5개년 1회독
  • 9월
    • 9평 기준 오답 단원 2~3일 내 보완
    • 실전 모의는 오전 시간대에 30분 안에 푸는 훈련
  • 10~11월
    • 기출·모의 2~3회독 → 문제 패턴 완벽 숙지
    • ‘선지 소거법’·‘자료 해석’ 속도 올리기
    • 과탐은 계산 실수 줄이는 공식·단위 체크 습관화

 

 

 

📌 재수생 — 과목별 전략

1. 국어

  • 목표: 고난도 안정 해결 + 시간 편차 최소화
  • 8월
    • 기출 5년치 전범위 2회독(틀린 유형 메모)
    • 문법·화작은 매일 10~15분 루틴화
  • 9월
    • 9평 이후 대학별 목표 난도 맞춰 변형 문제 풀이
    • 실전 80분 → 복기 40분, 주 3~4회
  • 10~11월
    • 틀린 지문·작품만 빠르게 회독
    • ‘시간 관리 루틴’ 완전 고정 (비문학→문학→화작/문법)

2. 수학

  • 목표: 킬러 안정적 해결 + 변형 난도 대비
  • 8월
    • 기출·모평 고난도 유형 2회독
    • 하루 1세트(수Ⅰ·수Ⅱ·선택) 풀기
  • 9월
    • 대학별 기출 난도 분석 → 맞춤 세트 제작·풀이
    • 킬러문항 해법 다양화(수식·그래프·수치대입)
  • 10~11월
    • 실전 시간 내 안정적 완주
    • 중난도 100% 맞히고, 킬러 1~2문제 확보
    • 계산·조건 체크리스트 습관화

3. 탐구(사탐·과탐)

  • 목표: 1~2등급 안정권 유지, 실수 제로화
  • 8월
    • 기출 5개년 2회독
    • 자료·그래프 문제 집중
  • 9월
    • 실전 모의 오전 시간대에 풀어 컨디션 적응
    • 오답 단원은 48시간 내 복습
  • 10~11월
    • 틀린 문제·헷갈린 선지만 모아 3~4회 반복
    • 시험 전날엔 개념·공식 압축 정리본만 확인

반응형

댓글